아침에 쓰는 일기 / 시를 짓는 여자
2010/10/26
시를 짓는 여자, 수다를 떠는 여자
사람의 시간이 다 다른건지
하루종일 수다를 떨어야 직성이 풀리는 뇨자는
하루종일 수다를 늘어놓았고
틈만 나면 시를 짓는 뇨자는
누에 고치치듯 그렇게 시를 낳았다.
해서 성 수자 시인은 허구한 날 시를 낳았나보다.
내가 성 수자 시인을 처음 봤을 땐 왠 자갈치 아줌마가
한길에 왔지 ? 하고 참 의아해 했다.
한데 나중에 알고보니 부산에서는 꽤나 이름이 알려진 중견 여류시인이라고 했다.
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중앙동 지하철 역에 가도
성시인의 시가 걸려있었고
영도 어딘가에 가도 태종대인가 몬가하는 시가 걸려있었다.
해서 이 가을
마침 우체국에 들려야 할 일이 있어 잠시 들렸다
휴게실에 꽃혀있는 시집들을 들여다보다
마침 성 수자 시인의 시집이 있길래 몇장을 들쳐봤더니
제법 이 가을 쓸쓸한 마음을 달래주는 것 같아
이 자리를 빌려 잠시 올렸는데
성 수자
그 이름만은 참 촌스러웠지만 (ㅋㅋ)
시는 몸매로 쓰는게 아니라 마음으로 쓰나보다.
(수자 詩人 잘 있오? 언제 강나루에서 막거리 한잔 합시다요)
붓꽃
성 수자
목소리 낮추어
웃음을 다스려
꽃대궁이 마디마다
돋아나는 여린 혼
연두잎 한 잎마다
붓꽃을 다듬어 마음에다
푸른 노래 쓰더니
봄 따라 피어 올라
여름 내내 가꾼 언어
그림움이 돌아 와
연으로 떠오르고
어지러이 흝어지는
방심한 향기 속에
가난을 거두리
그대 우주 안에서는
꽃다웁게 꽃처럼
그대 질긴 독백이
아늑한 한 나절
물고랑을 튀웠네
가을산
주왕산 계곡 맑은 물빛은
바위를 만들고 남은
푸른 증류수
가을을 한 웅큼씩 나누어 가지고
오르며 내리며
분주한 오솔길
못잊을 님 왔다간 흔적처럼
단풍잎 고운 때깔 가지마다
산자락 빈 가슴 마다
청송골 구비구비 흰구름을
만들어
앞섶 여민 바람이
하염없이 띄운다.
항아리
한 백년 삭으면 될까
가부좌 틀고 앉은 뜻
진작에 하늘은 아노니
뜸들여 우려낸 가이없는 정성 받들어
양지 바른 볕 모아놓고
지나는 바람도 체에 걸러 안치노니
내 속에 앉은 네 뜻은 어떤 모습일까
네 속에 삭힌 내 뜻은 어떤 빛깔인가
한 백년 후에나 알까
영원히 모른 채 지나갈까
항아리에 담기는 등 굽은 세월
물오른 산허리 훑고 온 햇빛이
가만가만 안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