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선과 곡선사이
길거리마다 은행 잎이 수북했다.
만추가 점점 가까운가보다.
한데 이용은 왜 시월의 마지막 밤이라고 했을까?
밤은 11월이 더 쓸쓸하고 가을 맛도 훨 깊은데............
건축과 마찬가지로
시어(詩語)도 따로 있나보다.
시월의 마지막 밤은 별 거부감없이 입에서 술술 나왔지만
십일월의 마지막 밤은 왠지 발음하기도 그렇고
세음절로 나누니 왠지 촌스럽기조차 하기 때문이었나보다.
하지만
시어와 마찬가지로
사람들은 왜 모든 건물이 한결같이
직선으로만 쭉쭉 뻗어야하는지 의아해했다.
물론 거기엔 인간의 한계와 욕망과 편리와
그리고 절묘한 이해관계가 딱 맞아 떨어졌기 때문인지도 모른다.
곡선은 부드러움 대신
면이 둥글기 때문에 아무래도 쓸 면적이
직선만 못했다.
뿐만아니라
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인건비도 더 들었고
공정도 까다롭기 때문에
공기도 그렇고 공사비도 무시하지 못했다.
때문에 많은 건축가들은
곡선보다는 직선을 더 선호했는데
그나마 가우디나 프랑크 게리 같은 이는
곡선이 얼마나 아름다운지
너거 아나? 하고 시위를 한번 했나본데
문제는 직선이 너무 많으면
도시나 시골이나 사람의 마음은
더 경직하고 황폐케 한다는걸 이해하려나.
해서 도시엔 공원도 필요하고
호수도 필요하고 강도 필요하고
오밀조밀하게 자연이 만든 해안선도 필요한데
하지만 울나라 4대강은 도대체 몬 문제가 그리많은지
아직도 저렇게 서로 물고 뜯고 야단일까 ?
나라 홍보가 여전히 시언찮은건가
아니면 진짜 의도가 다른데 있는건가?
아무리 수천년 흘러흘러 내려온 강이라지만
이제는 한번쯤 확실히 정비할 때도 되었건만
그게 또 직선일변도로 바꾸어질까?
그게 걱정이 되어서 저렇게 잠 못이루어 하는건 아니겠지.
'아침에 쓰는 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심하면 또 지랄이네 (0) | 2010.11.24 |
---|---|
은행나무가 몬 죄고 (0) | 2010.11.23 |
그림을 걸 공간이 없네 (0) | 2010.11.20 |
흘러 흘러 그렇게 가다보면 (0) | 2010.11.19 |
아침에 쓰는 일기 /빛좋은 개살구가 따로 없네 (0) | 2010.11.18 |